[지상중계] ]뉴스제휴평가위원회 투명성이 필요하다
[지상중계] ]뉴스제휴평가위원회 투명성이 필요하다
  • 김기억  영남일보 이사
  • 승인 2023.03.20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언제부터인가 대한민국은 포털(특히 네이버)이라는 절대적 언론 권력에 장악됐다. 아이러니 하게도 이런 언론 환경을 만든 주역은 언론 스스로이다.
 

특히 포털은 언론을 서열화(검색-뉴스스탠드-콘텐츠제휴사)하고 있다. 이 와중에 지역 언론(특히 신문)의 설 자리는 점점 사라지고 있다. 뉴스 소비 유통의 69%가 포털을 거치는 상황에서 전체 콘텐츠제휴사(이하 CP사) 중 지역 언론사는 10%도 안 되는 12개사에 불과하다. 지역 간 형평성도 논란이다.

지난 2015년 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 출범 이후 지난 8년간 정기심사를 통해 8곳이 CP사가 됐지만 지역 언론은 한 곳도 없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포털사의 지역 언론에 대한 인식 전환(상생 협력 등)이 필요하다. 특히 CP사 선정 때 제평위 구성과 평가 방식 개선, 서울과 지역 간 형평성 등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휴대폰으로 보는 뉴스는 포털의 영향이 매우 크다.
휴대폰으로 보는 뉴스는 포털의 영향이 매우 크다.

제휴평가위원회 구성의 문제

7기까지 15개 단체에서 2명씩 30명으로 제평위가 구성(8기는 18개 단체에서 1명씩 18명). 30명 가운데 2-3명 정도가 지역 출신 위원이고, 나머지는 수도권 출신이다. 언론에 대한 전문성과 이해도가 낮은 위원(변호사,시민단체)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런 제평위 하에서는 지역 언론은 정당한 평가를 받기가 쉽지 않다. 이들 대부분은 지역 언론은 중앙 언론에 비해 수준 낮은 콘텐츠를 생산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거나 지역 언론 간 차별성(역사,규모,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다. 이러한 상황이지만 지역 언론은 자사가 어떤 매체인지를 설명할 기회조차 얻기 힘든 상황이다. 적어도 CP사 신청 매체에 대해서는 제평위가 심사에 앞서 위원들을 대상으로 설명할 기회를 줄 필요 있다고 생각한다.

이해 충돌의 문제도 있다. 심사위원 중 이미 CP사에 선정된 매체(7기의 경우 매일, 한겨레, 서울, MBC, KBS, YTN, 연합뉴스) 기자 7명이 포함돼 있고, CP사 출신 위원도 3명이 포함되어 있다. 기존 CP사의 경우 더 이상 CP사 추가되는 것을 꺼리고 있는 점(밥 그릇에 숟가락을 더 얻는 것을 기피)을 감안하면 CP사 입장을 이들 심사위원들이 무시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제평위는 언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물, 이해 충돌 우려가 없는 인물 위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지역 출신 인물도 일정 비율로 참여시킬 필요성 있다고 본다.
 

포털뉴스 제휴평가위원회는 언론환경을 좌지우지 하는절대권력을 가지고있다.
포털뉴스 제휴평가위원회는 언론환경을 좌지우지 하는절대권력을 가지고있다.

평가 방식도 개선해야

현재는 정량평가 20%, 정성평가 80%이다. 정량평가는 △기사 생산량△자체 기사비율△윤리적 실천 의지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성평가는 △저널리즘 품질요소(사회적 가치성, 공정성, 정확성, 객관성, 전문성, 기사 생산체계의 적절성, 선정성)△윤리적 요소(기사윤리, 광고윤리, 선정성)△이용자 요소(형식적 요소, 기술적 요소, 사회적 요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성평가는 정답이 없는 답안지를 평가하는 것과 같아 30인 30색이 될 가능성이 높다. 평가 항목이 객관화되기 어려움에도 배점은 80점이나 되어 심사를 받은 언론사 입장에서는 정답 없는 시험을 치르는 상황이어서 준비가 어려운 것은 물론 심사 결과를 받아들이기도 쉽지 않다. 심사위원들에게 지나치게 많은 재량권을 부여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일부 제평위원의 정치적 편향성도 문제라고 생각한다.

 보다 객관적인 심사 결과를 답보하기 위해서는 정량평가와 정성평가 비율을 50대50 또는 40대60 정도로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정량평가 항목 중 기사 생산량의 기준을 좀 더 높일 필요성 있다.

현재 CP사 130개(네이버 기준) 중 지역 언론사는 12개사에 불과하다. 어떤 분야보다 수도권 쏠림이 심각할 뿐만 아니라 현 정부의 지방 균형 발전이란 측면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구성도. 7개 단체는 운영위를 겸임하고 있다.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구성도. 7개 단체는 운영위를 겸임하고 있다.

지역 언론 차별화는 여론의 수도권 쏠림으로 국가 균형발전 막아

수도권 중앙지 대부분은 물론이고 수도권 인터넷 매체 상당수가 CP사에 포함되어 있다. 특히 중앙지의 경우 조선일보(7개사-조선일보, 조선비즈, 주간조선, 월간조선, 헬스조선, TV조선, 스포츠조선), 중앙일보(5개사-중앙일보, JTBC, 코리아중앙데일리, JTBC골프, 중앙선데이), 동아일보(3개사-동아일보, 신동아, 채널A), 매일경제(3개사-매일경제, MBN, 매경이코노미), 한국경제(3개사-한국경제, 한경비즈니스, 한국경제TV), 한겨레(2개사-한겨레, 한겨레21) 등은 1개 신문사에 자회사 및 독립법인 다수가 CP사에 포함되어 있다. 중앙 집권화가 이처럼 심각한 분야도 없을 것이다.

이처럼 수도권 언론이 뉴스 유통의 핵심인 포털 CP사를 압도적 차지함으로써 여론의 수도권 쏠림은 기울어진 운동장이 아니라 이미 뒤집어진 운동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CP사가 된 지역 언론들조차 지역 기사 노출 비중은 20%도 안 되는 것으로 조사돼 여론의 수도권 쏠림을 막는 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인구 규모를 감안하지 않은 지역 매체 특별심사도 논란을 낳고 있다. 지난 2021년 지역 매체 특별심사 때 강원권(153만), 제주권(67만), 경기권(1300만), 대구경북권(500만), 부산경남울산권(700만)은 인구 편차가 엄청난데도 각각 1개 매체가 특별심사를 통해 CP사 됐다. 수도권과 지역 간, 그리고 지역 대 지역 간 여론 불균형 현상까지 심각하다.

수도권 언론보다 역사성은 물론 우수한 콘텐츠를 생산하는 지역 언론도 많다. 어려운 언론 환경 속에서 80년 가까이 꿋꿋하게 지역과 국가 발전을 위해 노력해온 지역 언론 역시 적지 않지만 포털은 제평위를 앞세워 이러한 지역 언론의 공은 전혀 인정하지 않고 있다. 포털은 이 같은 문제점은 인정하지 않으면서 뉴스 콘텐츠의 모호한 차별화만 요구하고 있다. 포털의 지역 언론 차별은 결국 국민 여론의 수도권 집중화라는 문제점을 야기할 것이다.

언론의 균형 없이는 국가 균형 발전도 없다.

수도권과 지역 언론을 6대4, 또는 7대3 정도로 최소한의 균형을 맞추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권역별 인구를 감안(150만~200만 명 정도 단위)한 지역 매체 특별심사가 추가 필요하다. 

뉴스 스탠드 제휴사(230여개 이중 CP 130개사)를 CP사 일괄 선정하는 것도 여론 형성의 수도권 쏠림 현상을 해소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스탠드 제휴사 상당수 지역 매체이다. 대신 제평위는 퇴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가짜뉴스, 광고성 기사 게재 매체 과감하게 퇴출하면 언론의 건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