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공부의 미래...로봇과 인공지능이 바꾸는 미래,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서평] 공부의 미래...로봇과 인공지능이 바꾸는 미래,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 김민성 미래한국 기자
  • 승인 2019.07.09 05: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로봇과 인공지능이 바꾸는 미래,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기술 발전이 일으키는 다양한 현상을 발 빠르게 추적해온 IT 전문 저널리스트이자 디지털 인문학자 구본권이 미래 교육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파고든다. 교육 환경을 둘러싼 전 세계적이고 거시적인 변화 속에서 현재 대한민국 교육은 경쟁력이 있는가.

자동기계 번역과 디지털 교과서, 코딩 교육 등 급변하는 교육 환경에 당장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력, 협업 능력 등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나만의 능력을 키우는 방법은 무엇인가. 시대가 변해도 바뀌지 않는 ‘공부의 본질’을 알면 어떠한 위기도 기회가 된다. 지금, 대한민국 교육현장에서 가장 뜨겁고 절실한 질문들에 답하며, 10년 후를 내다보는 새로운 공부의 방법을 모색해본다. 

“한국 학생들은 학교와 학원에서 미래에 필요하지도 않은 지식과 존재하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하루에 10시간 넘게 낭비하고 있다.” 세계적인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한국의 입시 위주 교육에 우려를 표하며, 21세기에 적합한 교육 개혁을 강조한 바 있다.
 

2016년 3월 알파고 충격이 한국 사회를 뒤흔든 이후, 뒤늦게 위기를 감지한 대한민국 교육 현장에서도 개혁의 시도들이 잇따르고 있다. 4차산업혁명에 대비해 교육부는 2018학년부터 디지털과 인공지능의 언어를 다루는 코딩 교육을 의무화했다. 사교육 시장에서는 코딩 학원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불안을 부채질하고 있다. 반대로 코딩을 배울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팽팽하다.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OECD 교육국장은 “지금 세살 먹은 아이에게 코딩을 가르치고 있는데 그애들이 대학을 졸업할 때쯤이면 코딩이 무엇인지 기억도 못하게 될 것”이라며 코딩 교육은 시간 낭비라고 일갈한다. 당장 대학 진학과 직업 선택을 목전에 둔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어떤 선택을 내려야 할까? 코딩, 배워야 할까, 말아야 할까? 

인공지능과 로봇이 가져올 변화에 위기감을 느끼는 수많은 학부모와 교사, 학생들을 직접 만나온 저자는, 교육 현장에서 쏟아진 수많은 절실한 질문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며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구글의 실시간 통역 이어폰 ‘픽셀 버드’, 네이버 번역 앱 ‘파파고’, 메뉴판에 카메라를 비추면 바로 번역해주는 고품질 번역 앱들이 난무하는 시대, 과연 외국어를 배울 필요가 있을까? 외국어를 배워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며, 학생들로 하여금 어떻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을까? 인터넷 동영상 강의(인강), 디지털 교과서, 학습을 도와주는 다양한 교육 앱들을 교육 현장에 바로 도입하는 것이 옳을까?

그렇다면 이러한 스마트 기기들은 교실에서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실제로 도움이 되었을까? 전통적 교육과 학습의 대전제가 크게 흔들리고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과거에 통용되던 방식과 잣대로 미래를 바라보고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이 책은 현재 대한민국 교육 현장에서 가장 뜨거운 질문들에 주목하며, 불안감과 위기감에 갈팡질팡하는 많은 이들이 현명한 선택을 내리도록 길을 안내한다. 

교육 환경을 둘러싼 전 세계적이고 거시적인 변화 속에서 대한민국 교육은 경쟁력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입시 위주 교육은 오랫동안 정답 맞히는 능력으로 학생들을 줄세워왔지만, 앞으로는 달라질 수밖에 없다. 독해력, 타이핑·프로그래밍 능력, 수학 실력, 기계조종 능력처럼 기계가 대체할 수 있는 ‘하드 스킬’은 미래를 위한 역량에 포함되지 않는다. 앞으로의 교육은 복잡성과 예측불가능성을 두려워하지 않고 수용하려는 태도와 능력을 키워주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바로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자기통제력, 협업 능력 등의 ‘소프트 스킬’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책은 ‘하드 스킬’에 비해 구체적으로 점수 매기기 어려운 ‘소프트 스킬’을 소홀히 해온 대한민국의 교육을 뿌리부터 돌아보며, 학생들의 이러한 능력을 키워주려면 집에서 또 학교에서 어떤 교육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하는지 꼼꼼히 짚어본다. 나아가 인문학과 철학, 심리학과 과학 등 분야를 넘나들며 인간만의 고유한 능력인 소프트 스킬을 발견하고 개발하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저자는 자신이 무엇을 알고 있고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 이해하는 ‘메타인지(meta-cognition)’ 능력을 공부의 핵심이자 가장 강력한 도구로 바라본다. 메타인지가 발달한 사람은 탁월한 학습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자신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시간 안에 무엇을 공부해야 할지 알 수 있으며, 자신이 하는 일의 의미를 돌아보고 스스로 피드백을 받으며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한 발 떨어져서 문제를 바라보고 문제의 본질을 찾아내는 메타인지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 어떠한 낯선 환경과 새로운 문제를 접하더라도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다. 그러나 메타인지는 인간이 가진 가장 고등한 인지 능력으로 이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 책은 다양한 통계와 실험,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과 학습을 통해 메타인지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미래는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커 단기간의 목표, 가시적인 성과를 겨냥한 공부는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불확실한 미래에도 변하지 않는 근본적인 가치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것을 향해 끊임없이 공부하는 사람만이 결실을 얻고 행복에 이를 수 있다. 첨단기술과 불안한 미래는 또다시 공부의 본질을 묻는다. 당장의 시험 성적과 대학 진학이 아니라, 10년 후를 내다보는 새로운 공부의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이 책이 바로 그 답이 되어줄 것이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