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방송법 개정안을 처리하기로 잠정적인 합의에 이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과거 방송법 개정안 통과를 주장하던 언론노조가 반발하면서 빈축을 사고 있다.
정권이 바뀌기 전 민주당이 발의한 방송법 개정안 통과를 주장하던 언론노조가 정권이 바뀐 후 딴 소리를 내고 있어서다. 화장실 들어갈 때와 나올 때가 다른 셈.
이와 관련 KBS공영노동조합(성창경 위원장)은 25일 성명을 내어 “방송법 개정을 반대하는 언론노조는 억지를 부리고 있다”며 “방송법 개정은 시대의 요청으로, 여야는 한시바삐 합의된 방송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라”고 촉구했다.
공영노조는 “방송이 정권의 하수인이 되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잘 보고 있지 않는가”라며 “언론노조는 이제 그만 정치활동을 멈춰라. 정치활동 그만하고 더 늦기 전에 본연의 언론인으로 돌아오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 이하 전문 -
방송법 개정을 반대하는 자들아 들어라
민주당과 야당의 방송법 합의가 거의 마무리 수준이라는 소식이 들린다.
핵심은 현재 여당 이사수가 월등히 많은 것을 바꿔 여야 이사수를 비슷하게 하고, 사장 선임 시 특별다수제를 도입해 특정당이 미는 후보가 사장이 될 수 없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어느 일방이 추천하고 지지하는 후보가 사장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여야 추천이사들의 고른 지지를 받은 후보가 사장이 되는 것이다. 정파성이 덜 하도록 만든 장치인 것이다.
그런데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가 이에 반대하고 나섰다.
과거에는 그렇게 방송법 개정하라고 목청을 높이더니 이제는 반대하는 이유는 ‘기득권’을 내려놓기 싫어서임을 우리는 안다. 좌파 정권이 계속 이어질 것 같으니 지금의 구도에서 자신들이 지지하는 사람을 사장으로 계속 옹립하겠다는 것 아닌가.
화장실 가기 전 마음과 가고 온 뒤의 마음이 이렇게 달라지다니.
언론노조가 방송법 개정을 반대하는 이유는 여야 이사를 정치권에서 뽑지 말라는 것이다. 이것도 반대를 위한 억지 논리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소리가 아니다.
지금 먹는 사탕이 달콤하다고, 정권과 노조에 의해 장악된 방송에서 자리를 얻을 요량이라면 아서라. 자신도 죽고 방송도 망하고, 결국은 국민을 기망하는 것이 된다.
방송법 개정은 시대의 요청이다. 여야는 한시바삐 합의된 방송법 개정안을 통과시켜라. 방송이 정권의 하수인이 되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잘 보고 있지 않는가.
언론노조는 이제 그만 정치활동을 멈춰라. 정치활동 그만하고 본연의 언론인으로 돌아오기 바란다. 더 늦기 전에...
2018년 4월 25일 KBS공영노동조합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