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개혁의 과제
언론 개혁의 과제
  • 김범수 편집인
  • 승인 2013.02.18 11: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 대(對) 1,000. 각각 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과 인수위 출입 기자단 숫자다.

상당수가 정체도 아리송한 그 많은 언론들과 1,000여명의 기자들은 지난 1~2개월간 박근혜 당선인과 30여명의 인수위원에 대한 비판 기사를 쏟아냈는데, 비판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아무리 삼청동 인수위 사무실 앞에서 밤새 진을 치고 목을 빼고 기다려도 기사거리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최근 정치권 기사의 키워드는 박근혜 당선인의 ‘잠행’과 ‘불통’ ‘밀봉인사’ 였다. 그리고 인수위원과 일부 조각이 발표될 때마다 언론들은 굶주린 하이에나의 추잡한 이빨과 냄새를 드러내며 발표인사들의 약점 사냥에 나섰다.

현재 대한민국 유일의 무소불위 권력은 언론이다. 입법·사법·행정부의 주요 요직은 모두 청문회와 선거를 통해 철저한 검증절차를 거치는데 유독 ‘4대 권력’ 언론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어장치가 없다.

언론인, 기자가 되기 위한 자격제한은 없고, 비판이 직업인 이들에게 ‘죄 없는 자가 돌을 던지라’는 말은 애당초 상관이 없다. 누가 누가 더 펜대와 자판을 힘껏 눌러 정치인과 공직자, 사회 각계를 통쾌하게 때리는가의 경주가 벌어진 모양새다. 편향된 이념과 진영논리에 의한 일방적 비판도 심각하지만, 최소한의 사실관계 검증이라는 기본적 저널리즘마저 사라졌다.

3류 ‘듣보잡’ 인터넷 매체들의 이야기만이 아니다. 메이저 기성 언론들의 경우 그들의 특기 중 하나는 정권 초기 새 정부를 일단 때리고 보는 일 같다. 특히 친여 성향의 언론들은 새정부를 ‘조질수록’ 존재감이 더 크게 드러나고 정부 내 지분을 높일 수 있다고 믿는 듯하다.

결정권자의 인사(人事) 비판을 넘어 아예 직접 인사를 하려고 하고, 자신들의 하마평이 맞지 않으면 그 책임은 인사권자에게 넘겨진다. 심지어 자사 언론사 출신을 청와대에 밀어 넣기도 한다. 한마디로 언론이 최고지도자의 머리 꼭대기에 앉아 있는 모양새다.

이쯤 되면 집중포화를 맞는 대통령 당선인은 여론 눈치 보기와 지지도 변화에 민감해지는 것이 수순인데, 박근혜 당선인은 - 최소한 아직까지는 - 언론에 흔들리지 않는 모습이다.

‘허니문 기간’ 전국 곳곳을 방문하고 기자들과 지지자들을 만나 살짝 웃어주기만 해도 지지율이 하늘을 찌를 수 있을 텐데 정중동하는 모습이 전임자들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언론에 업혀 분위기에 휩쓸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 페이스대로 여론수위를 조절해 가려는 것 같다.

사실 언론에 보도되는 뉴스란 ‘현실’이 아니라 편집되고 해석된 ‘메시지’ 일 뿐이다. 국가 지도자는 언론을 보고 현실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언론과 뉴스를 통해 국민들에게 자신만의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민주주의 사회의 최대 장점이자 단점일 수 있는 언론의 자유를 지닌 민주국가를 주도적으로 이끌 수 없다.

또한 새 박근혜 정부는 포털 권력을 개혁해야 한다. 그동안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 포털은 사실상 언론 행세를 하며 수천, 수백만 방문자수를 기반으로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그리고 노조가 장악한 공영 언론들과 종교목적으로 방송허가를 받은 후 편향된 변칙 시사보도를 해온 CBS 등 종교 언론들에도 메스를 가해야 한다. 기독교언론의 경우 기독교계가 나서 지원을 철회하는 등 자정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제 우리나라에도 기업과 스포츠, 연예계에서 처럼 세계 1류 매체와 언론인들이 탄생하기를 바란다. 3류 언론이 1, 2류 기업, 정치를 비판하는 모습은 더 이상 보고 싶지 않다. 언론개혁이야말로 국가 선진화와 사회통합, 통일을 위한 최우선 과제 중 하나이다.

김범수 편집인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