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대선과 2018년 지방선거, 그리고 2020년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에 대패를 거듭했던 국민의힘이 2021년 4월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에서 민주당에 처음으로 승리를 거뒀다.승리의 성적표도 놀라웠다. 박빙 승부가 될 것이라는 민주당의 예상과는 달리 서울과 부산 모두 국민의힘 후보들의 압승으로 마무리됐다. 그 결과 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변화된 민심을 잡기 위해 1년 앞으로 다가온 대선과 지방선거에 대한 준비가 발등의 불로 떨어진 상황이다.일단 민주당은 원내대표를 비롯해 최고위원들이 사퇴했다. 4ㆍ7 재보궐선거 패배를 수습할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위원장에 도종환 의원(3선· 충북 청주흥덕)을 임명했다.
도 의원은 친문재인계 싱크탱크인 ‘민주주의4.0’의 이사장을 맡고 있는 친문 핵심 인사다. 비록 10일 간의 짧은 기간을 맡는 비대위원장이라고는 하지만 친문의 핵심에서 비대위원장을 맡았다는 상징성은 여러 가지를 의미한다. 당내 분열과 진영 이탈을 최대한 막겠다는 것이고 여기에 문재인 대통령의 의지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9일, 4ㆍ7 재보궐선거의 패배에 대해 사과를 표명했다. 대통령이 당을 대표하지 않는다는 정치 상식에 비춰 문 대통령이 지방자치 선거에서 민주당의 참패에 사과를 한다는 것은 어딘가 어색하다. 하지만 이러한 대통령의 행위는 현재의 국정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존재감을 민주당에 상기시키는 효과를 줬다. 일종의 단속 효과를 노린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민주당은 5월 전당대회에서 내년 대통령 선거와 지방자치 선거를 이끌어갈 당의 지도부 선출에 친문이 다시 중심에 서게 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문제는 당내 친문세력과 여전히 소원한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스탠스다. 이재명 지사는 4ㆍ7 재보궐선거 직전인 4월 5일부터 사흘 동안 실시된 엠브레인퍼블릭과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의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통령 지지율 24%를 얻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18%로 뒤를 이었고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는 10%로 나타났다. 주목되는 점은 4월 보궐선거 이후 윤석열 전 총장의 지지율이 7%p 급락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국민의힘의 승리로 인해 윤석열 전 총장의 제3지대 행보가 어려울 수 있다는 실망감과 함께 국민의힘 지지자들 가운데 대안부재로 윤석열 전 총장을 지지하던 동력이 당내 후보 가능성 쪽으로 무게 중심이 옮겨갔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윤석열 전 총장의 향후 정치적 행보는 국민의힘을 우호적으로 의식하지 않고는 어렵게 된 상황이다.
문제는 윤석열 전 총장이 국민의힘과 의미 있는 대화를 시작하려면 국민의힘 내부에 혁신적인 변화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이 지적된다. 결국 국민의힘으로서는 윤석열 전 총장을 당내로 견인하기 위해서는 곧 있을 전당대회에서 국민이 납득할 만한 인사들로 당의 지도부가 구축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현재 그러한 인물로서는 역시 이번 선거를 승리로 이끈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지목되지만 김 비대위원장은 지난 8일 자신의 소임을 완수했다는 점을 들어 약속한 대로 국민의힘을 떠나기로 발표한 상태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자연인 상태에서 윤석열 전 총장과 접촉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국민의힘 내부는 상당히 복잡한 사정에 놓이게 될 수 밖에 없다.
민주당, 국민의힘 모두 험난할 것
일단 5월에 있을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대권 잠룡들과 서로 다른 당권파들 간에 합종연횡을 통한 세력 대결이 예상된다. 만일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집단지도체제를 선택한다면 이런 양상은 더 복잡해져 당대표와 최고위원들 간에 권력 분점으로 당의 구심점이 의외로 취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이번 야권 단일화에 나름 기여한 공로가 있는 김무성 전 대표의 의중은 국민의힘 내부에 보이지 않는 긴장감을 주고 있다. 오세훈, 박형준 두 당선자의 정치적 코드가 김무성 전 대표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 때문에 과거 3.10 탄핵에 반대했던 국민의힘 내 TK 친박들의 입지는 대단히 좁아진 상태이기 때문. 다만 그렇다해도 이번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선출될 당 지도부가 내년 대선과 3개월 간격으로 치러질 지방선거의 공천권을 행사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따라서 김무성 전 대표를 중심으로 하는 혁신 세력이 국민의힘에 여전히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보수적인 TK 지역의 당심과 탄핵 책임을 묻는 강성 당원들, 그리고 당 지지자들로부터 이해와 양보를 받아낼 수 있는 것인지는 의문으로 남는다.
결국 국민의힘은 5월 전당대회에서 갈등의 표면화를 피하기 위해 어느 한쪽의 우세로 보이지 않는 그렇고 그런 인물들로 당의 지도부가 구성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국민에게 이러한 결과가 여전히 ‘그 나물에 그 밥’이 될 수 있다는 것이고 국민의힘에 대한 중도 민심의 철회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남는다. 이러한 문제의 모든 원인은 여전히 국민의힘 내에 유력한 차기 대선 후보가 없다는 점이 만들어 내고 있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은 여전히 윤석열 전 총장에 대한 입당 제안을 포기할 수 없는 입장이지만 이를 위한 당 개혁의 전제가 걸림돌이라는 순환적 딜레마는 쉽게 해결되기 어려워 보인다.
한편 민주당으로서는 이번 4월 선거의 참패를 반성하고 당의 노선을 변화시키기보다는 역으로 ‘정면돌파’론이 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운동권 친문 진영 입장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레임덕은 곧 자신들의 정치적 주도권 상실을 의미하기에 과거 운동권 방식의 문제 해결을 선호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다. 이러한 집단적 사고로 인해 민주당은 이재명 지사나 이낙연 전 대표 모두를 거부하고 친문 적자 후보를 옹립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후보로는 호남 친문 정세균 총리와 역시 친문의 이데올로거인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이 강화되면 될수록 이재명 지사측의 반발과 당을 향한 적극적인 행보는 더 가속화될 것이다. 결국 이러한 과정에서 민주당도 내부적 분열의 양상이 표면화될 것이고 극단적인 경우 이재명 지사 진영의 탈당과 독자 세력 구축 후 윤석열의 제3지대와 연대한 후 두 사람 간에 대선 후보 단일화가 치러지는 그림도 그려질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국민의힘을 떠난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이 이러한 정치 프로세스를 주도할 것인가 라는 질문이다.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에게는 4월 보궐선거를 승리로 이끈 공로가 있다. 따라서 국민의힘 내부의 당권과 대권 갈등의 회피로 5월 전당대회에서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을 당대표로 추대하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이든 국민의힘이든 이번 4월 보궐선거의 후폭풍은 피해갈 수 없으며 어느 당이 먼저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혁신과 노선을 제시하느냐가 차기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승리하게 될 것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