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필 LFT 대표 “분식점 사장이나 국회의원이나 다를 게 없다...상생해야 성공”
김원필 LFT 대표 “분식점 사장이나 국회의원이나 다를 게 없다...상생해야 성공”
  • 미래한국 편집부
  • 승인 2019.12.17 16: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기업 사주와 가까운 친척이고 6선 국회의원의 조카이자 초선 국회의원의 막내아들이 막걸리집을 했다면? 그것도 모자라 사회초년생을 돕는 청년단체를 이끌고 있고 소상공인 상생 프로젝트도 진행 중인 김원필 (주)LFT 대표(42). 정작 그는 “한 번도 스스로 금수저란 생각을 안해 봤다. 지금은 그냥 분식점 사장일 뿐”이라고 말한다. 물론 금수저라고 분식점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듣던 금수저 이야기와는 사뭇 다르다. “왜 그렇게 사느냐” 물었다.

김원필 (주)LFT 대표
김원필 (주)LFT 대표

- 사회 초년생을 돕는 청년단체를 이끌고 있다고 들었는데...

“청년의 권리를 보호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청년인재를 키우는 사업도 벌이고 있고요.”

- 청년단체에 주목한 계기가 있었나요?

10여년 전 한국청년유권자연맹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었습니다. 사회초년생을 위한 교육이 이뤄진다는 신문 광고를 보고 다양한 직종의 동년배들을 만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죠. 그 시기 낮에는 회사를 다니고, 저녁에는 막걸리집을 창업했는데 이때 시민단체에서 받은 교육과 알게 된 사람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으로 청년단체에 가입해 활동하다 보니 공동대표까지 맡게 됐죠.”

- 국회의원 출마도 했었다는데...

“막걸리집이 잘 되면서 사업을 키웠습니다. 분식 프렌차이즈 사업으로 중국에 진출할 만큼 성장도 했죠. 그러다 4년 전 고향 천안에 내려왔습니다. 고 김종철 6선 전 국회의원이 큰아버지시고 김호연 전 국회의원이 사촌형이다. 고 김종식 전 국회의원은 아버지입니다. 주변 영향을 받아서인지 고향에 내려가 국회의원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경선 후보까지는 올라갔지만 결국 공천을 받는 데 실패했죠. 이후 생각이 많이 바뀌었어요.”

- 생각을 바꿨다는 건 정치를 포기했다는 의미인가요?

“아닙니다. 국회의원에 대한 꿈을 버리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전 방식과는 다른 길을 선택하고자 합니다. 남들이 볼 때 편하게 사업했을 것이라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낮에는 직장에 다니고 밤에는 막걸리집을 했죠. 프렌차이즈 사업과 관련해 아는 사람도 없어서 분식 프렌차이즈 창업과정에서 시행착오도 많이 겪었습니다. 노력으로 얻은 나름의 성공이었다고 자부합니다. 하지만 국회의원 선거는 그렇지 않았어요.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는 데 실패했던 거죠. 창업하듯 기본에 충실했다면 결과는 달라졌을 것이라는 반성을 했습니다.”

- 준비 중인 소상공인 상생프로젝트가 반성의 결과물인가요?

“그 중 하나죠. 과거에도 소상공인이었고 현재도 소상공인이어서 누구보다 자영업자들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창업정보도 공유하고 홍보마케팅도 서로 돕는 연대모임을 결성하고 있죠. 정부 정책을 원망하기에 앞서 스스로 살아남는 방법을 찾으려는 것입니다. 선거를 목적으로 겉치레를 하자는 것이 아닙니다.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입니다. 유권자를 위해 뭐라도 해놓고 다시 평가를 받는 게 순서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충남 최연소 출마예정자라고 들었다. 청년 정치인으로서 할 말이 있을 것 같은데...

“서로 다른 가치와 이념을 가진 정당이 다투고 싸워야 발전한다고 하지만 우리나라 정치는 언제까지 이렇게 해결책 없는 편 나누기 싸움만 해야 하는지 안타깝습니다. 이는 생산성과 효율성을 전제로 했을 때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에요. 다름을 인정하고 대화와 타협, 투명한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정치를 보고 싶습니다. 이념과 편가르기가 통하지 않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젊은 정치가 새로운 미래를 만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국회의원이 되면 무엇을 바꾸고 싶은 건가요?

“어찌 보면 정치나 분식점이나 막걸리집이나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습니다. 소상공인은 소비자에게, 정치인은 국민에게 잘하면 됩니다. 즉 기득권을 이용해 특혜를 누리려는 생각을 내려 놓아야 성공하는 거죠. 때가 됐다고 표를 구걸해서는 안 되는 것처럼 소비자의 신뢰를 얻는 방법과 유권자의 지지를 받는 방법이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소상공인의 한 사람으로서 자영업자들이 서로 협력해 상생하는 선진모델을 만들어 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싶고 유권자에게 평가받고 싶습니다.

정치에 도전하는 내가 소상공인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소상공인이 바로 서야 지역이 살고 나라가 번영한다고 믿기 때문이에요. 막걸리 한잔에 미소 짓고 떡볶이 한 접시에 즐거워하는 사람들의 얼굴을 이젠 정치를 통해 실현시키고 싶습니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